반응형
Python에서 split() 과 rsplit() 함수는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는 함수입니다.
split() 함수는 문자열을 기본적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나눕니다. 구분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공백으로 구분됩니다.
string = "파이썬 프로그래밍 입문"
result = string.split()
print(result)
# ['파이썬', '프로그래밍', '입문']
구분자를 지정하여 문자열을 나누고 싶을 때는 split(구분자) 라는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string = "오늘,날씨,구름,많음"
result = string.split(",")
print(result)
# ['오늘', '날씨', '구름', '많음']
다른 예제도 작성해봤습니다.
# 문자열을 정의합니다.
text = "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"
# rsplit()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뒤에서부터 공백 문자를 기준으로 분리합니다.
words = text.rsplit()
# 분리된 문자열을 출력합니다.
print(words)
# Output: ['The', 'quick', 'brown', 'fox', 'jumps', 'over', 'the', 'lazy', 'dog']
# rsplit()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지정한 분리자를 기준으로 분리합니다.
words = text.rsplit("o")
# 분리된 문자열을 출력합니다.
print(words)
# Output: ['The quick br', 'wn f', 'x jumps ', 'ver the lazy d', 'g']
# rsplit()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지정한 분리자를 기준으로 지정한 횟수만큼 분리합니다.
words = text.rsplit("o", 1)
# 분리된 문자열을 출력합니다.
print(words)
# Output: ['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', 'g']
split과 rsplit과 차이는 왼쪽부터 구분하는지, 맨끝에서부터 구분하는지 차이입니다.
split은 csv 파일과도 많이 사용되는데요. csv가 comma로 구분된 데이터라서 split으로 리스트로 변환해서 많이 사용됩니다. 꽤 자주 사용되는 내장함수라서 많이들 사용하니까 잘 기억해두세요~
반응형
댓글